본문 바로가기

바르트의 풍크툼 : 기호가 넘치는 세계에서 찔린 아픈 상처 <사진 인문학> 바르트의 풍크툼기호가 넘치는 세계에서 찔린 아픈 상처 사진은 왜 인문학의 보고인가? 벤야민과 함께 사진 담론의 초석을 깐 이는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1915~1980)이다. 바르트의 사진 담론은 그의 신화관에 기초한다. 그는 우리가 사는 세상을 신화로 본다. 그 신화는 일정한 구조에 의해 지배되고, 그 구조는 특정 의미를 지니는 기호로 점철되어 있다. 따라서 바르트는 현대인이 저지르는 가장 큰 오류 가운데 하나는 자신이 속한 사회의 제도와 의미가 ‘자연스러운’ 혹은 ‘합리적인’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라 한다. 바르트에 의하면 현대 사회에서의 종교, 혼인 여부, 성적 취향, 학벌 등은 자연스러운 것 즉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그러한 것들은 단지 사회 내에서 만들어진 것이며,.. 더보기
벤야민의 아우라 : 익숙한 것을 낯설게 읽기 <사진 인문학> 벤야민의 아우라익숙한 것을 낯설게 읽기 사진은 아우라를 지우는가? 사진에 대한 담론의 물꼬를 튼 벤야민(Walter Benjamin, 1892~1940)에게 화두는 19세기 말, 20세기 초 자본주의가 한창 꽃피던 시절의 대중문화였다. 그를 이해하기 위해 그와 동시대에 살았던 미학자 아도르노(Thodor Adorno, 1903~1969)의 대중문화에 대한 태도를 우선 살펴보도록 하자. 아도르노는 대중문화를 “대중 기만의 도구”라고 비판했다. 그는 사람들이 대중문화를 보면서 얻는 즐거움은 대중을 노예화하는 폭력일 뿐이라고 했다. 따라서 아도르노에 의하면, 현대 사회 속에서 대중문화는 결코 진보적으로 이용될 수 없다. 벤야민은 그와 전혀 다른 태도를 보였다. 그는 아도르노와는 달리 대중문화를 문명 진보를 위.. 더보기
교보문고 오늘의 책 (2015.01.30) 안녕하세요~알렙입니다^^혹시 책을 읽고는 싶은데 어떤 책을 골라야 하는지 고민이 되시는 분들 있나요?만약 그렇다면 교보문고 오늘의 책에서 골라보시는 건 어떨까요?교보문고 오늘의 책(1월 30일) 목록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그리운 이름, 박완서박완서 산문집 세트박완서외 | 문학동네외 박완서 타계 4년, 그녀의 살아있는 목소리를 다시 만나다. 한국 현대사를 온몸으로 살아온 생생한 경험담에서 사회를 바라보는 냉철한 눈, 소소한 일상의 아기자기한 이야기까지 박완서는 여전히 우리 가슴을 울린다. ​☞자세히 보기 상대를 끌어들이는 세련된 대화법대화의 신래리 킹 | 위즈덤하우스 오바마, 빌 게이츠 레이디 가가 등 25년 간 굵직한 인사들을 상대로 촌철살인의 토크쇼를 선보였던 전설의 진행자 래리 킹. 그가 '대화의 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