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렙과 책/내용 속으로

[오늘의 언지록] 물이 너무 깨끗하면 고기가 살지 못한다

물이 너무 깨끗하면 고기가 살지 못한다

 

 

물이 너무 맑으면 물고기가 살지 않고, 나무가 너무 곧으면 그늘이 지지 않는다. 정사가 지나치게 까다로우면 인재가 모이지 않는다는 걸 위정자는 깊이 명심해야 한다. “저기에 버린 볏단이 있으며, 여기에 버린 벼이삭이 있으니 이는 과부의 이득”이라고 하는데, 이는 이러한 일들까지 정치가 너무 간여하지 말라는 뜻이다.

 

 

 

 

 

 

[拾遺] “저기에 버린 볏단이 있으며 여기에 버린 벼이삭이 있으니 이는 과부의 이득이로다彼有遺秉. 此有滯穗. 伊寡婦之利”는 구절은 『시경』 「소아小雅·대전大田」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공자가어孔子家語』 「팔관八官」편에 “물이 지나치게 맑으면 물고기가 살지 못하고 사람이 너무 살피고 따지면 따르는 무리가 없다水至淸則無魚, 人至察則無徒”라고 하였습니다. 또 양梁나라 악부樂府 「자소마가紫騷馬歌」는 “나뭇가지 하나는 재목이 되지 못하고 홀로 선 나무는 숲을 이루지 못한다獨柯不成材, 獨木不成林”고 하였습니다. 『후한서後漢書』 「최인전崔傳」에는 “높은 나무들만 가득하면 그늘이 지지 않고 홀로 선 나무는 숲을 이루지 못한다蓋高樹靡陰, 獨木不林”고 하고, 「반초전班超傳」에는 이런 이야기가 나옵니다.
반초는 무예가 뛰어나 명제明帝 때 오랑캐 50여 나라를 복속시켰습니다. 그 공으로 서역 도호총독가 되어 정원후定遠侯에 봉해졌는데, 반초가 소임을 다하고 귀국하자 후임 도호로 임명된 임상이 부임 인사차 찾아와서 서역을 다스리는 데 유의할 점을 물었습니다. 그러자 반초는 이렇게 말했지요.
“물이 너무 맑으면 물고기가 살지 않고, 사람이 너무 살피면 따르는 이가 없다水至淸卽無魚, 人至察卽無徒.”
반초는 이 말로 임상의 급한 성격을 지적하고, 정치도 너무 엄하면 아무도 따라오지 않으므로 사소한 일은 덮어두고 대범하게 다스릴 것을 충고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임상은 이 충고를 따르지 않고 자기 소신대로 다스렸습니다. 그 결과 반초가 복속시켰던 50여 나라는 임상이 다스린 지 5년 만에 모반을 일으켜 한나라를 떠났으며, 서역도호부도 폐지되고 말았지요.
위정자가 지나치게 청렴결백하여 작은 허울까지 지나치게 살피고 따지면 인재가 모여들지 않으니, 경우에 따라서는 눈을 감고 귀를 덮을 필요가 있나 봅니다.

 

 

 

 

 

 

언지만록 136조 중에서

 

<언지록>(사토 잇사이 지음, 노만수 옮김, 알렙 펴냄)